제련소 오염 문제, 국제 사회 논의 의제로 확장
포럼서 '동북아 시민사회 성명서' 채택

영풍 석포제련소 폐수 재이용시설 전경. [영풍 제공]
영풍 석포제련소 폐수 재이용시설 전경. [영풍 제공]

국내 환경 시민단체가 영풍 석포제련소로 인한 낙동강 상류 환경 오염 문제를 유엔(UN) 포럼에 공식적으로 제기했다. 이는 국내에 국한된 현안으로 여겨지던 제련소 오염 사안이 국제 사회에서 논의되는 의제로 확장된 것으로 평가된다.

30일 안동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이 단체는 지난 21일부터 23일까지 몽골 외교부에서 열린 유엔 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위원회(UNESCAP) 제9회 동북아 지속가능발전목표 이해관계자 포럼에서 '영풍 석포제련소로 인한 낙동강 상류 환경 오염 사례와 해결책'을 주제로 발표했다.

이번 포럼은 한국, 몽골, 중국, 러시아, 일본 등 5개 국가 시민사회 대표들이 참여해 유엔 17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가운데 ▲깨끗한 물과 위생(Goal 6) ▲저렴하고 깨끗한 에너지(Goal 7) ▲산업·혁신 인프라(Goal 9) ▲지속가능한 도시와 커뮤니티(Goal 11) ▲목표 달성을 위한 파트너십(Goal 17)을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됐다.

김수동 안동환경운동연합 이사장은 유엔아태경제사회위원회(UNWSCAP)의 초청을 받아 참여해 시민사회포럼 'Goal 6(깨끗한 물과 위생)' 세션에서 영풍 석포제련소로 인한 낙동강 중금속 오염 실태와 해결 방안 제안·국제 사회의 협력을 제시했다.

특히 포럼 마지막 날인 23일에는 시민사회포럼에서 발표된 내용을 중심으로 동북아 시민사회 성명서(2025 NEA CSO Statement)가 채택되기도 했다.

성명서에는 현재 상황과 과제와 해결 방안으로 영풍 석포제련소의 위험한 작업 환경과 주변 환경 피해 등을 시급히 해결해야 할 필요성이 언급됐다. 해결 방안과 권장 사항으로 한국 정부가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영풍 석제련소의 이전과 복원, 그리고 피해 주민을 위한 포괄적인 조치 등을 할 것을 제안했다. 아울러 UN은 지속가능한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한국정부·산업계와 협력할 것을 권장했다.

이 성명서는 유엔아태경제사회위원회에 제출되었으며, 내년 2월 태국 방콕 개최 예정인 아시아지속가능발전포럼(APFSD), 내년 7월 뉴욕 개최 예정인 고위급 정치포럼(HLPF)에서 동북아 포럼 주요 논의 결과로 보고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