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 수소 생산부터 활용까지 밸류체인 전반 협력 강화
5MW급 PEM 수전해 기술 실증, V2G 시범 서비스 상용화 추진

왼쪽부터 오영훈 제주도지사, 양희원 현대차그룹 R&D본부장 사장 [현대차그룹 제공]
왼쪽부터 오영훈 제주도지사, 양희원 현대차그룹 R&D본부장 사장 [현대차그룹 제공]

현대자동차그룹이 제주도와 손잡고 그린 수소, 분산 에너지 등 재생 에너지 분야 협력을 강화하며 제주도의 탄소 중립 도시 전환에 박차를 가한다.

현대차그룹은 25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양희원 현대차그룹 R&D본부장 사장, 켄 라미레즈 에너지&수소사업본부장 부사장, 오영훈 제주특별자치도지사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제주도 그린 수소 및 분산 에너지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제주도가 추진하는 2035 탄소 중립 달성 목표에 발맞춰, 그린 수소와 분산 에너지를 중심으로 한 재생 에너지 전환을 목적으로 한다. 그린 수소는 재생 에너지로 생산한 전기로 물을 분해해 온실가스 배출 없이 생산되는 수소이며 분산 에너지는 소규모로 지역 곳곳에서 생산·소비되는 에너지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현대차그룹과 제주도는 수소 에너지의 생산부터 저장, 운송, 공급, 활용까지 수소 밸류체인 전반에서 협력을 강화하고, V2G 서비스 구축을 중심으로 분산 에너지 분야에서도 적극 협력한다.

◆그린 수소 생산 기술 실증, 수소 모빌리티 확대 등 수소 산업 전 과정 협력

현대차그룹과 제주도는 협약을 통해 수소 산업 전 과정에서 협력하기로 했다. 협력 분야는 ▲그린 수소 생산 확대를 위한 기술 개발 ▲수소 모빌리티 보급 확대 및 인프라 확충 ▲수소트램 도입 ▲항만 탈탄소를 위한 친환경 물류 운송 및 수소 인프라 구축 등이다.

현대차그룹은 제주도와 협업해 오는 2029년까지 김녕풍력발전단지에서 그린 수소 생산을 위한 5메가와트(MW)급 PEM 수전해 양산 기술을 개발하고, 대규모 실증 사업을 통해 그린 수소 초격차 생산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다.

제주도는 수소 모빌리티 보급 확대를 위해 내년부터 수소 승용차 구매 보조금을 처음으로 지원하고, 수소 버스와 수소 청소차도 추가 도입할 예정이다. 또 현대차그룹과 협업해 제주도 전역에 수소 충전소를 확대 구축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바이오가스 기반 청정수소 생산시설 확대 검토, 도시철도망 구축 시 수소트램 도입 검토, 항만 탈탄소를 위한 청정 물류 운송 및 수소 인프라 구축 등 여러 분야에서의 협력을 이어갈 방침이다.

왼쪽에서 일곱 번째부터 오영훈 제주도지사, 양희원 현대차그룹 R&D본부장 사장, 켄 라미레즈 에너지&수소사업본부장 부사장 [현대차그룹 제공]
왼쪽에서 일곱 번째부터 오영훈 제주도지사, 양희원 현대차그룹 R&D본부장 사장, 켄 라미레즈 에너지&수소사업본부장 부사장 [현대차그룹 제공]

◆분산 에너지 특화 지역 내 V2G 시범 서비스 개발·상용화 위해 공동 노력

수소 사업과 더불어 분산 에너지 생태계 구축을 위한 협력도 이어진다.

현대차그룹과 제주도는 지속 가능한 V2G 인프라 구축과 에너지 자립, 전력망 효율화 실현을 위해 다양한 협력을 전개한다. 협력 내용은 ▲분산 에너지 특화 지역 내 V2G 시범서비스 추진 ▲V2G 서비스 상용화 ▲V2G 기능 탑재 전기차 보급 추진 ▲V2G 인프라 확대를 위한 정책 유치 ▲미래 전력시장 제도 개선 등이다.

나아가 제주도가 미래 에너지 전환과 친환경 모빌리티의 핵심 거점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상호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

현대차그룹은 이번 업무 협약을 통해 재생 에너지 전반에 걸친 협력을 기반으로 제주도의 2035 탄소 중립 목표 달성은 물론, 나아가 지역 친환경 산업 전반의 도약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양희원 사장은 "그린 수소, 분산 에너지 등 재생 에너지 전반에 걸친 이번 협력을 통해 에너지 대전환과 앞으로 제주도 2035 탄소 중립 실현은 물론 K-탄소 중립 이니셔티브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그룹사 역량을 적극 활용해 지속 가능한 미래 사회를 더 가속화하기 위해 앞장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오영훈 제주도지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수소, 분산 에너지 기반의 에너지 대전환을 본격화하고 대한민국의 탄소 중립 실현을 앞당기는 한편 제주가 글로벌 에너지 신산업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협력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현대차그룹은 지난 24일 개막한 '2025 그린 수소 글로벌 포럼 with 글로벌 분산 에너지 포럼'에 참여해 제주국제컨벤션센터 내 브랜드 전시관을 마련하고, 현대차 넥쏘, 아이오닉 9, V2G 충전기 등을 전시하며 친환경 모빌리티 비전에 대해 소개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