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딥노이드의 주가가 주식시장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다. 국내 기업이 개발한 엑스레이 영상 판독 생성형 AI(인공지능) 솔루션의 성능이 오픈AI의 챗GPT보다 월등히 우수했다는 결과가 나오며 영향을 받는 것으로 풀이된다.
27일 주식시장과 딥노이드에 따르면 이로운 인하대 영상의학과 교수팀과 공동으로 진행한 '딥노이드의 M4CXR과 오픈AI의 챗GPT간 흉부 엑스레이(X-ray) 해석 성능 비교에 관한 연구'가 SCI급 국제공인 학술지인 '저널 오브 클리니컬 메디슨'(Journal of Clinical Medicine)에 게재됐다.
딥노이드가 개발한 M4CXR은 흉부 엑스레이 영상을 분석해 판독문 초안을 만드는 LLM(거대언어모델)로 설계된 클라우드 기반 의료AI 솔루션이다. 이번 연구는 M4CXR이 흉부 엑스레이 진단시 실제 의료현장에서 임상의의 역량을 강화하는 보조도구로 적합하다는 걸 입증했다는 게 딥노이드의 설명이다.
딥노이드에 따르면 의료AI 관련 전문가인 이로운 교수팀은 M4CXR과 챗GPT의 판독 결과를 정확도, 위양성, 위치 오류, 개수 오류, 환각 등 5개 지표로 평가했다. M4CXR은 모든 평가 항목에서 챗GPT보다 우월한 성능을 기록했다. 특히 위치 정확성 부문에서 M4CXR은 76~77.5%의 정확도를 기록한 반면 챗GPT는 36~36.5%에 그쳤고 진단 정확성 부문에서도 M4CXR(60~62%)은 챗GPT(42~45%)를 크게 앞질렀다.
이번 논문의 제1저자인 이로운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의료 영역에서 M4CXR의 진단 보조 도구로의 잠재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며 "특히 위치 정확도와 진단 정확성에서 보여준 우수한 성능은 실제 임상 현장에서 큰 가치를 발휘할 것"이라고 했다. M4CXR이 전문 의료 환경에서 활용하기에 적합할뿐더러 범용AI인 챗GPT에 비해서도 월등히 우수한 만큼 실제 의료 현장에서 진단 업무 최적화 등을 통해의료 전문가의 역량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최우식 딥노이드 대표는 "이번 연구는 M4CXR이 전문 의료 영역에서 챗GPT를 능가하는 훌륭한 성능을 갖췄음을 입증한 것"이라며 "2025년 상반기 상용화를 목표로 영상 판독 시장 진출을 준비하고 있다"고 했다. 또 "전 세계 영상판독 시장이 2030년까지 연평균 23.7% 성장해 약 56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며 "M4CXR을 통해 시장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독보적인 AI판독기술을 개발한 딥노이드에 투자자들의 매수심리가 강하게 작용하는 모습이다.
"글로벌 원격의료 시장 선점" 드림텍, ‘유비크뷰 2A 시스템’ 美 FDA 승인…세계 최초 FDA 승인 무선 패치
[특징주] 닷밀, 디즈니ㆍ유니버설과 양대산맥 '멀린엔터'와 글로벌 테마파크 진출 본격화↑
"이엔셀이 또 일냈다" 글로벌 빅파마 ‘CAR-T’ 반제품 생산추가 수주…글로벌 빅파마 신규문의 쇄도
[특징주] 네온테크, 일론 머스크 '美 국방 최우선 과제 전투기 드론으로 대체'…드론사업부 국책과제 참여↑
"59조 시장 정조준"…라메디텍, 아이엘사이언스와 실리콘렌즈 레이저기기 개발 나선다
[특징주] 핑거, 여야 '토큰증권' 법제화…367조 STO 시장 선점 기대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