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주식시장서 금리 인하가 주는 유동성 효과에 주시
국내 증시 침체 현실화 가능성↓…실적 다운사이클 변수
AIㆍ이차전지株 불확실성↑…바이오ㆍ성장주 주목
![그래프 이미지. [픽셀스 제공]](https://cdn.financialpost.co.kr/news/photo/202410/214835_219009_5750.jpg)
금융여건이 완화적인 상황에서 시작된 금리 인하가 주는 유동성 효과에 주시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특히 내년 기업들의 실적 성장률은 올해와 비교해 둔화되지만, 과거 실적 성장을 기록한 해들의 평균에 해당하는 20%대 내외의 영업이익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24일 증권가에 따르면 내년 주식시장이 올해에 이어 상승 모멘텀을 이어갈 가능성은 높지만, 불확실성이 빈번하게 증시에 개입될 가능성이 제기됐다.
주가에는 모멘텀이 존재한다는 특성을 고려할 시 내년에도 올해의 상승 추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다만, 올해 주식시장을 순항하게 만들었던 요인(연준의 금리인하, 양호한 경기, 이익 성장)들이 내달 미국 대선 결과 이후 미국의 정치 지형, 국제 정세 변화와 맞물리면서, 증시에 불확실성을 빈번하게 주입하는 시기가 될 것이라고 판단했다.
키움증권은 "불확실성은 주식시장에 늘 존재해왔다"며 "필요악과 같은 존재이기는 해도, 시대를 거듭할수록 불확실성의 레벨이 높아지고 있는 현실"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불확실성은 금융시장의 혼란, 가계와 기업의 의사결정 지연 등을 초래하면서 주식시장에 변동성을 만들어낸다는 파급력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금융시장 내 불확실성이 높아지면 실물경제와 금융시장 참여자들에게 부정적인 자기 실현적 예언을 만들면서 경제 성장이나 기업 실적의 악화를 유발할 수 있다.
실제로 한국의 내년 한국의 내년 경제성장률이 연간 2.1%대로 둔화될 것으로 예측됐다. 이는 올해 2.4%보다 낮아지는 수치다. 시장 예상치(컨센서스)도 올해와 내년 2%대의 성장을 전망하며 시각의 변화가 크지는 않은 상황이다. 이는 공급망 재편, 인구구조의 변화 등의 구조적인 변화 영향으로 풀이된다. 향후 산업∙업종∙기업 내 차별화가 지속되며, 소득 불균형과 양극화는 심화될 것으로 예상됐다.
아울러 한국의 경제 성장은 수출 의존도가 지속해서 높게 나타나며, 수출과 내수 격차는 불가피한 것으로 알려졌다. 민간 소비는 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부채 조정에 따른 소비 여력 약화 등에 부진하며, 설비투자도 더딘 회복세를 보이기 때문이다. 건설투자도 민간 부동산 시장 불안에 개선은 제한적일 전망이다.
그러나 증권가에서는 이를 상쇄시켜주는 요인이 올해 하반기부터 시작된 연방준비제도(Fed), ECB, 한국은행 등 중앙은행의 금리 인하가 될 수 있다고 판단했다.
키움증권은 "올해 하반기 중 침체 내러티브가 강화되기도 했으나, 이번 금리인하 사이클은 과거의 전형적인 사태 수습성 금리인하가 아닌 선제적(예방적) 금리인하가 될 것"이라며 "내년에 블랙스완 급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이상 금리인하는 증시에 안전판이 되어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내달 미국에서 누가 당선되느냐에 따라 관련 트레이드를 하는 것은 적절한 대응 전략이지만, 단기에 국한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드러났다. 중기적인 시각에서 봤을 때, 주가의 본질적인 흐름을 결정하는 것은 이익과 매크로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키움증권은 "해리스 당선 시 기존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 바통을 이어받는 다는 점에서 증시 불확실성은 크지 않을 전망이나, 트럼프 당선 시 관세 정책 등이 유발하는 불확실성이 증시 변동성을 구조적으로 상승시킬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다만, 지난 1923부터 지난해까지 미국 S&P500이 플러스를 기록했을 때의 요인을 분해해보면, 공화당 집권기(43%), 민주당 집권기(57%)보다 기업 실적 증익 사이클(이익성장기, 67%) 등 실적 그 자체가 주가 상승의 주된 촉매였다는 점도 눈여겨볼 만한 요인"이라고 전했다.
![코스피 주가와 코스피 12개월 영업이익 전망 그래프. [키움증권 제공]](https://cdn.financialpost.co.kr/news/photo/202410/214835_219010_591.png)
이러한 전망 속 내년 상반기의 주요 변수로 '실적 다운사이클'이 꼽혔다. 내년 주식시장의 상저하고 경로의 배경에는 미국 경기 하강 정도의 불확실성, 연준의 금리인하 중단 시점 불확실성도 있지만, 보다 근본적인 것은 이익 다운사이클에 진입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키움증권은 "이미 한국의 수출 증가율은 지난 4월을 기점으로 현재 7%대 초반까지 둔화되고 있는 가운데, 코스피의 12개월 선행 영업이익 증가율도 4월 41%에서 고점을 형성한 후 이달 말 현재 28%대로 둔화되고 있는 실정"이라며 "내년에도 역기저효과와 올해 상반기까지의 미국의 소비 탄력 둔화 등으로 하락 추세를 이어 나갈 것인 만큼, 이 같은 수출·이익 다운사이클 진입 국면에서 쉽게 벗어나기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이익 다운사이클 진입이 얼마나 하향될 수 있는지가 관건"이라며 "내년의 경우 연초 추정치와 추정치 간 평균 괴리율(약 10%)에 수출 모멘텀 둔화와 비교한 금리인하의 실물경제 효과, 유동성 증대 등을 반영해보면, 약 7~10% 수준의 하향 조정에 그칠 것"이라고 판단했다.
이처럼 한국 증시에서 미국 경기 향방 등 침체를 둘러싼 내러티브는 내년에도 여러 차례 부각되겠으나, 침체의 현실화 가능성은 낮을 전망이다. 평균적으로 금리인하 이후 12개월간 누적 수익률은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해서다. 아울러 내년 중국의 경기 모멘텀 개선에 따른 유로존·흥국으로의 낙수효과 등이 직간접적으로 G7 중심의 주요국 경기와 기업 실적에 우호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됐다.
![외국인 코스피 순매수와 반도체 제와 순매수 그래프. [키움증권 제공]](https://cdn.financialpost.co.kr/news/photo/202410/214835_219011_112.png)
다만, 내년 초반에는 인공지능(AI) 자본지출 대비 수익성에 대한 의구심이 수시로 제기될 전망이다. 기업 투자 안에서도 AI 생태계의 참여 여부에 따라 성장의 지속성이나 회복도 차별화가 예상됐다.
앞서 올해 주요국 증시는 엔비디아를 중심으로 AI 사이클 수혜, 양호한 이익 성장, 연준의 금리인하 기대감 등으로 지난해에 이어 우상향하는 흐름을 보였다. 그러나 지난 8월 중 △엔-캐리 청산 △미국의 침체 내러티브 확산 △AI 수익성 둔화 우려 △블랙먼데이 등 어려운 시기를 겪은 바 있다.
키움증권은 "높아진 기대치에 부합하는 실질적인 성과 유무와 기술 중심의 AI 생태계가 비기술 부문으로의 산업까지 확장되면서 생산성 향상을 유도해줄 수 있는지를 놓고 의견 분분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IT 재고순환(출하-재고)은 둔화되고 있으나, IT 수주 증가율이 추가 하락 제한되고 있다"며 "혼재된 흐름이 IT 중심의 강했던 투자 성장세가 다소 완만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덧붙였다.
게다가 반도체의 업종 부진에는 SK하이닉스, 한미반도체 등 HBM 주들보다는 삼성전자의 문제에 국한되어 있는 성격이 짙은 것으로 파악됐다.
키움증권은 "이미 TSMC(파운드리)와 삼성전자의 상대주가나 SK하이닉스(HBM)과 삼성전자의 상대주가는 역대급으로 벌어진 상태임을 감안할 때, 올해 상반기에 삼성전자를 둘러싼 우려와 노이즈에서 쉽게 벗어나기 어려울 것"이라며 "반도체주의 주도주 복귀 여부는 올해 하반기 이후 가능성을 본격 타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울러 지난해 주도주였던 이차전지도 올해 주가 바닥 확인 이후 반등에 나서고 있기는 하지만, 내년 주가 방향성에 대해서는 의구심이 상존한다고 판단했다. 미국 대선 이후 후 IRA 법안 변화에 대한 불확실성과 25년 리튬가격 반등ㆍ실적 모멘텀 생성 시기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영향을 주고 있어서다.
이에 따라 이차전지주가 내년에 주도주로 재등극하는 것은 어렵지만, 수시로 시장에 초과수익의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내년에는 국내 주식시장에서 바이오 업종이나 국내 제약 업체, 성장주에 주목할 것을 제안했다.
키움증권은 "이번 금리인하 사이클에서는 성장(바이오=금리인하 수혜 스토리+이익 성장)과 가치(금융=주주환원+변동성 장세의 완충장치)가 혼합된 포트폴리오가 우수한 성과를 보이는 패턴이 나타날 것"이라며 "대선 결과와 무관하게 미국 정부의 약가 인하 기조 지속되면서 국내 제약 업체들의 미국 내수시장 점유율 확대 기회도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바이오포트코리아, 코스닥상장 예비심사 청구…스팩 합병 본격화
[단독] 글로벌 전기차기업 테슬라, 하이비젼시스템 전격 방문…기술소개 후 커뮤니케이션 진행
[특징주] 엔젤로보틱스, '하반신 완전마비 환자도 이제 걷는다'…카이스트와 새 웨어러블 로봇 공동개발 ↑
[특징주] 엔젤로보틱스, '하반신 완전마비 환자도 이제 걷는다'…카이스트와 새 웨어러블 로봇 공동개발 ↑
“하반신 완전마비 장애인도 혼자 걷는다” 엔젤로보틱스-KAIST, 새 웨어러블 로봇 ‘워크온슈트F1’ 공개
“하반신 완전마비 장애인도 혼자 걷는다” 엔젤로보틱스-KAIST, 새 웨어러블 로봇 ‘워크온슈트F1’ 공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