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암호화폐 시장동향에 대해 코인포스트가 전했다.

17일 미국 NY 주식시장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일대비 391달러(-1.1%) 하락했다.

금융 대기업 골드만삭스의 결산 발표로 주가가 전일대비 -6.44% 하락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미 금융당국의 금융긴축이나 우크라이나 정세 등 지형 악화의 영향을 받아 M&A(합병·매수)나 자금 조달 등의 기업 활동이 대폭 둔화. 골드만삭스의 주력 사업인 투자은행과 트레이딩 부문의 수익이 크게 떨어졌다.

10일에는 미국 경제가 리세션(경기침체)에 빠질 위험에 대비해 2008년 리먼 사태 이후 최대 규모인 3200명의 인력 구조조정 계획이 밝혀지기도 했다.

한편, 개별주에서는 미 최대 거래소 코인베이스주가 전일대비 8.3% 상승으로 속신장한 것 외에, 비트코인을 대량 보유하는 마이크로스트레티지가 8.7% 상승, 마이닝 관련 기업인 Hut8이 17% 상승했다. 과매도 수준에 있던 암호화폐 관련 종목을 중심으로 재검토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이 섹터는 전면 강세를 보였다.

[암호화폐 시황]

암호화폐 시장에서 비트코인은 전일대비 +1.04% 오른 21,325달러를 기록했다.

BTC/USD 주봉

시세가 바닥에 있는지에 대한 시장의 의견은 갈리고 있다.

해외 애널리스트 DonAlt는 강세로 돌아선 한 사람이다.

주봉 종가가 주요 라인의 19,300달러를 넘어 추이하고 있는 것을 중시. 향후 18,000달러의 지지선을 밑돌거나, 32,000달러까지 상승 후에 대폭적인 약함을 나타내지 않는 한 “매수(Buy)”를 유지한다고 하고 있다.

한편 과열감을 나타내는 일봉 RSI가 이미 과매수 수준에 있다는 점을 지적. 조정은 필요하다고 하고 있다.

BTC/USD 일봉(DonAlt)

약세파의 The Wolf Of All Streets는 BTC의 주봉 분석에 있어서, 위쪽으로의 돌파 후에 대폭 반락하는”불 트랩(강세의 함정)”이라는 진단을 나타냈다.

한국 시간 2월 2일 4시로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발표가 있을 예정. 시장은 0.25%의 금리인상폭 축소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시장심리를 보여주는 ‘Fear and Greed Index’는 지난해 4월 이후 9개월 만에 공포(Fear)존을 벗어나 중립(Neutral)을 나타내는 50대에 이르렀다.

Fear&Greed Index

이 지표는 2022년 5월 테라(LUNA) 쇼크를 거쳐 암호화폐 시장이 폭락한 이후 극도의 공포 체류 기간이 사상 최장이었다.

[알트코인 시세]

폴리곤(MATIC)의 하드포크 ‘폴리곤 델리 포크(Polygon Delhi Fork)’가 완료됐다.

베이스피(기본 수수료) 변동률의 반감(12.5%→6.25%)에 의한 거래 수수료(가스 수수료) 감소 외에 체인 재편성(reorg) 리스크 대응에 의해 트랜잭션의 파이널리티 개선을 목표로 한다.

바이낸스는 또한 17일 BNB 코인의 자동 소각 완료를 보고했다.

소각량은 2,064,494 BNB(약 8000억원)에 이르며, 일부는 20년 9월에 도입된 「Pioneer Burn Program」에 근거해 실행되었다.

Pioneer Burn Program은 빈 스마트 컨트랙트 주소로 BNB가 잘못 전송될 경우, 해당 토큰을 차기 소각량에 포함하고 조건을 충족한 사용자에게는 분실분의 BNB를 보상하는 것.

BNB는 이더리움 ERC-20 규격으로 발행된 종목. BNB체인 BSC(옛 바이낸스 스마트체인)의 네이티브 토큰이자 거래소 토큰의 대표격.

※ 간편 복리 계산기 [▶ 바로가기]

※ 단순 개인 블로그인 코인코드는 해외 소식을 의역 & 참고한 것임을 밝힙니다. 코인코드는 팩트에 기반하지 않으며, 오역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도 괜찮으신 분들만 보세요. 코인코드는 투자 판단의 근거로 활용될 수 없습니다!

※ 오타를 발견하신 분들은 그날 하루 행운이 가득할 것입니다. 네잎클로바급 오타입이다.

[ 코인코드 (coincode.kr), 공유 하시게 되면 출처는 꼭 남겨주세요. ]

The post 18일 암호화폐 시장동향 .. 21000달러대 유지 비트코인 · 시장심리지수 9개월만에 ‘중립’ 수준으로 appeared first on 코인코드.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