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지스가 폴리곤 체인에 메시스왑을 정식 런칭하며 생태계 확장에 돌입했다.
국내 대표 블록체인 기술 기업 오지스(Ozys)가 3일, 폴리곤(Polygon) 체인에 신규 AMM DEX ‘메시스왑(Meshswap)’을 공식 오픈하며 글로벌 블록체인 생태계로 발돋움했다. 오지스는 그동안 폴리곤과 공식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첫 공동 설계 프로젝트로 메시스왑의 개발과 ‘메시(MESH)’ 토큰 이코노미 구축에 박차를 가해 왔다.
오지스가 배포한 자료에 따르면 폴리곤과 협업을 추진하게 된 배경으로는, 오지스가 블록체인 생태계 익명 프로젝트 사이에서 실명 팀으로서 투명하게 프로젝트 개발사로 참여하며 쌓아온 신뢰 기반과, 지속적으로 인프라 구축 역량을 자랑하며 디파이 생태계를 선도해왔다는 점이 크게 작용했다.
메시스왑은 시가 총액 15조원 이상 규모의 폴리곤에 진출한 자율 금융 거래 프로토콜로, 오지스의 대표 프로젝트 클레이스왑(KLAYswap)의 리뉴얼 버전이다. 메시스왑은 토큰을 활용한 유동성 공급, 스왑(swap), 레버리지 일드 파밍(leverage yield-farming), 스테이킹(staking) 등의 기회의 장을 열어주며, 발생한 거래 수수료와 거버넌스 토큰 ‘메시(MESH)’를 비롯한 다양한 토큰을 보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다.
오지스가 다양한 협업을 통해 축적해 온 기술 개발 및 인프라 구축 역량과 클레이스왑, 오르빗 체인, 벨트파이낸스 등 주요 프로젝트의 동작∙운영 경험이 대규모 플랫폼 폴리곤과 결합해 생태계의 빠른 확장을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리플(XRP), 메이커다오(MakerDAO), 이오스트(IOST), 치다오(QiDao), 크로노스(Kronos DAO), 오르빗 브릿지(Orbit Bridge), 멀티체인(Multichain), 엑스피어(Xpeare), 쏠잼(GoldenKnights), 젬허브(Gemhub), 미디움(MEDIUM) 등 걸출한 국내외 런칭 파트너는 메시스왑에 대한 기대의 방증이라고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오지스는 “메시스왑의 성공적인 출시는 단순히 폴리곤이라는 대규모 글로벌 체인 진출 그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며 “메시스왑에는 상상력의 한계를 뛰어넘는 다양한 플랫폼의 융합과 이를 통한 부가가치의 창출, 커뮤니티 중심의 보다 진전된 탈중앙화 거버넌스의 구축, 그리고 진정한 의미의 토큰 이코노미 발전에 대한 기대가 응축되어 있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