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설명]
롯데케미칼 황진구 기초소재사업대표(사진왼쪽), 한국콜마홀딩스 안병준 대표(사진왼쪽에서 2번째), 연우 박상용 대표(사진왼쪽에서 3번째) MOU체결 기념사진.

'친환경 패키지제품 맞손' 롯데케미칼·한국콜마·연우, 하반기에 적용 [블록체인밸리+]
업종별 특성에 따른 재생 패키지 개발 협력…친환경 ESG 경영에 최적의 파트너 역할 

국내 화학사인 롯데케미칼과 화장품 원료업체인 한국콜마홀딩스, 화장품 용기 생산업체인 연우 등이 고객사부터 최종 소비자까지 친환경의 생활화가 이뤄질 수 있도록 손을 잡았다. 최근 글로벌 화장품업계는 화장품 용기를 재활용 가능한 소재로 전환하고 있다. 로레알은 오는 2030년까지 화장품 포장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을 재활용 또는 바이오 기반 소재로 100% 전환하기로 했다. 에스티로더는 2025년까지 75%~100% 재활용 또는 재사용 가능한 소재로의 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다.

1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이날 오전 서초구 내곡동 한국콜마종합기술원에서 롯데케미칼 황진구 기초소재사업대표와 한국콜마홀딩스 안병준 대표, 연우 박상용 대표 등이 참석해 재생 소재 용기 개발 및 적용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협약식에 참석한 3사는 ESG 경영 및 소비가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롯데케미칼의 재생소재인 PCR-PP (폴리프로펠렌, Polypropylene), PCR-PE(폴리에틸렌, Polyethylene)를 활용한 친환경 화장품 패키지 개발에 함께 협력하기로 했다. ▲친환경 패키지 제품 개발 협력 ▲재가공한 PE, PP 재생수지(PCR)의 안정적 공급 ▲친환경 화장품용 패키지 적용 및 용도 확대 등을 함께 이행하게 된다. 

롯데케미칼은 한국콜마홀딩스 및 연우와의 협력으로 재활용 원료 수요 창출과 친환경 제품에 대한 니즈를 빠르게 파악해 고객들의 친환경 제품 요구에 맞는 패키지 개발 및 ESG 경영에 더욱 기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국콜마홀딩스와 연우는 ESG 경영을 실천하고 친환경 화장품 패키지 시장을 선도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롯데케미칼과의 협력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황진구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사업대표는 "다양한 소재 제품 그레이드를 통해 화장품 및 식품, 포장백 등 업종별 특성에 맞는 재생소재를 공급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고객사에 맞춘 자원 순환 트렌드를 선제적으로 파악해 관련 기술 개발 및 제품 확장으로 고부가 소재 사업을 더욱 확장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안병준 한국콜마홀딩스 대표는 "3사 협력을 통해 친환경 화장품 패키지 개발 및 활성화를 위한 노력으로 진정성 있는 ESG 경영을 실천하면서 상호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역설했다.

박상용 연우 대표 역시 "이번 롯데케미칼과의 MOU를 통해 친환경 화장품 용기 소재의 안정적인 공급기반을 확보함과 동시에 글로벌 시장을 공략할 수 있는 새로운 발판을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롯데케미칼은 올해 초부터 풀무원, 삼성웰스토리, 세븐일레븐, LG생활건강과 협력관계를 구축해 식품 용기 및 화장품 패키지에 들어가는 재생소재를 공급 및 생산 계획 중에 있다.

롯데케미칼은 지난해 '에브리 스텝 포 그린'(Every Step for GREEN)을 발표하고 2030년까지 친환경 리사이클 소재 사업의 규모를 100만 톤 이상으로 늘리겠다는 각오다. 또 원료부터 판매, 사용, 폐기 등 전 과정에서 경제, 환경, 사회 분야에 미치는 영향과 리스크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겠다는 계획을 수립 운영 중에 있다.

[사진설명]

롯데케미칼 황진구 기초소재사업대표(사진왼쪽), 한국콜마홀딩스 안병준 대표(사진왼쪽에서 2번째), 연우 박상용 대표(사진왼쪽에서 3번째) MOU체결 기념사진.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