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앤리서치 제공]](/news/photo/202311/173352_149673_418.jpg)
롯데건설이 지난 1월부터 10월까지 국내 시공능력평가 상위 건설사 중 '분양' 관련 온라인 정보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GS건설과 ㈜한화 건설부문이 뒤를 이었다.
13일 여론조사기관 데이터앤리서치에 따르면 뉴스·커뮤니티·블로그·카페·X(옛 트위터)·인스타그램·유튜브·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지식인·기업/단체·정부/공공 등 12개 채널 23만 개 사이트를 대상으로 지난 1월부터 10월까지 국내 시공능력평가 건설사 상위 12곳의 분양에 관한 실수요자 관심도(정보량=포스팅 수)를 빅데이터 분석했다.
조사 대상은 지난 7월 3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3 국내 시공능력평가 상위 12개 건설사로 선정했다. 정보량 순으로 △롯데건설(대표 박현철) △GS건설(대표 임병용) △한화 건설부문(대표 김승모) △현대건설(대표 윤영준) △대우건설(대표 백정완) △DL이앤씨(대표 마창민) △호반건설(대표 박철희·변부섭) △HDC현대산업개발(대표 최익훈·김회언·정익희) △현대엔지니어링(대표 홍현성) △포스코이앤씨(대표 한성희) △삼성물산 건설부문(대표 오세철) △SK에코플랜트(대표 박경일) 등이다.
조사 키워드는 '건설사 이름' + '분양' 이며 한글 기준 15자 이내인 경우만 결과값으로 도출하도록 했기 때문에 실제 정보량은 달라질 수도 있다. DL이앤씨, SK에코플랜트, GS건설과 같이 사명에 알파벳이 들어가는 경우 각각 '디엘이앤씨', '에스케이에코플랜트', '지에스건설' 등 한글 표기를 병행해 조사했다.
데이터앤리서치 관계자는 "올해 초부터 분양시장에 훈풍이 불어옴에 따라 이슈가 있었던 일부 건설사를 제외하고 '분양' 게시물의 호감도가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크게 상승했다"면서 "이들 게시물의 긍정률이 한화, 롯데건설 등 80% 안팎인 건설사들도 나타났다"고 전했다.
분석 결과, 롯데건설의 '분양' 관련 포스팅 수는 2만 2387건을 기록하며 조사대상 건설사 중 1위에 올랐다.
우선 서울 '청량리' 일대 재개발 사업 관련 포스팅이 포착됐다.
X(옛 트위터)의 한 유저는 지난 7월 청량리 롯데캐슬 하이루체 청약 경쟁률이 평균 242:1을 기록했으며, 최고 경쟁률로는 59㎡ 타입에서 320:1을 보였다는 트윗을, 디시인사이드 승강기 갤러리의 한 유저는 롯데캐슬 SKY-L65 입주 현장을 방문해 SKY-L65의 고층구간을 운행하는 현대엘리베이터의 플래그십 기종 ‘SUVF’ 탑승 후기를 전했다.
GS건설은 10개월간 2만 1459건의 정보량으로 2위를 차지했다. '분양' 키워드로만 분석함에 따라 지난 4월말 발생한 '검단 지하주차장 붕괴 사고' 관련 포스팅 들이 집계에 잡히지 않았음에도 롯데건설과 불과 928건의 포스팅 차이로 2위를 기록했다.
이어 한화 건설부문이 1만 9741건의 정보량으로 3위에 자리했다. 지난 10월 TISTORY의 '사이****'이라는 유저는 11월 분양 예정인 대전 도마동 '도마포레나해모로'에 대한 게시물을 업로드했다.
현대건설이 1만 7265건의 포스팅 수로 4위에 랭크됐고 대우건설은 1만 6865건의 '분양' 정보량으로 5위를 차지했다. 6위 DL이앤씨의 최근 10개월 간 '분양' 정보량은 1만 2113건으로 나타났다. 이어지는 순위들의 '분양' 정보량은 1만 건 미만으로 확인됐다. 호반건설은 8690건의 정보량으로 7위를 기록했고 HDC현대산업개발의 '분양' 포스팅 수는 7241건으로 8위에 랭크됐다. 이어 현대엔지니어링(7205건), 포스코이앤씨(6742건), 삼성물산 건설부문(4277건) 순으로 각각 9~11위를 지켰다.
지난 1월부터 10월까지 SK에코플랜트의 '분양' 관련 게시물은 3068건으로 임의선정한 12곳 건설사중 가장 적은 포스팅 수를 기록했다.
FINANCIAL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