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정두의 주식투시경](금융용어) 지속형 캔들, 반전형 캔들이란?
주가 상승하는 종목을 찾기를 원한다면 주식 차트속에서 상승 샅바형 캔들을 찾아보는 것도 좋은 방법 중의 하나이다. 샅바형이라는 것은 추세의 지속형을 뜻합니다. 우리가 흔히 생각했을 때 장대양봉 하면 쭉 뻗어갈 거 같고 장대 음봉 하면 쫙 뻗어 갈 거 같지만 그렇치 않은 경우가 종종 나타난다.
망치 역전된 망치 우산 우산을 뒤집어놓은 모습 이런 부분은 추세의 전환이다 라고 한다면 샅바형의 경우에는 추세 지속입니다. 다시 얘기해서 상승추세의 양봉 상승샅바형이 나오면 위로 올라가죠 이건 색깔이 중요하다. 그리고 하락추세에서의 음봉 이런 샅바형이 나오면 하락이 있을 수도 있다 신뢰도는 별 두 개를 줄만큼 중요하다고 평가한다.

여기서는 역시 중요한 것이 신뢰도나 이런 것 보다도 모양. 우산의 모양이 있고 두 번째 우산을 뒤집어놓은 모양 망치를 뒤집어놓은 모양이 있고 세 번째는 상승샅바 하락샅바 양봉 음봉 이렇게 생각하시면 되겠다.
앞서 지속형 패턴을 알아보았다면 이번엔 반전형 패턴을 설명한다. 역전된 망치형 유성형이라고 표현하게 됩니다. 이 부분도 마찬가지로 반전형으로 캔들이 되는데 역전된 망치형의 경우에는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빨간색으로 표현을 하게 되는데 색깔도 역시 의미가 없습니다.

그래서 위에서부터 끌려 내려오다가 그러다가 바닥에서 이런 모양이 떴을 때에는 반전될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지금 윗 꼬리가 달렸다는 부분은 반등을 모색하고 있다. 그런 기준이 되기 때문에 일단은 역전될 가능성이 높다. 돌려질 가능성이 높다 이렇게 기준을 잡을 수 있다.
신뢰도는 별 두 개정도 줄 수 있으며 유성 슈팅스타. 이 패턴은 주가가 쭉 올라오다가 고점에서 이런 모습을 나타낸다 라고 했을 때 그렇게 되면 하락반전 되는 경우가 많다. 지금은 앞서서 설명한 것처럼 캔들의 역할을 배우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모양을 먼저 생각하는 것이 좋다. 1. 우산형이 있다 2. 우산을 뒤집어놓은 이러한 망치형 유성형의 모양이 있다라면 지속형인지 반전형인지 구분해야 소중한 자산을 지킬 수 있다.
글·기고 윤정두 JDI파트너스 대표
FINTECHPOST